요즘 간호조무사 월급 얼마 받을까요?
2024년 기준 최저임금은 시급 9,860원으로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206만 740원이다.
주 40시간 근무 기준 전체 평균 월급은 237만 5,590원이다. 하지만 현재 간호조무사 월급은 연차, 지역, 의료기관 등에 따라 다르며, 평균 주 5일 근무하는 곳이 많은데 세 후 160~180사이 정도 되는 것 갔다. 통상적으로 연간 2,000~3,000만원 선에서 책정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. 경력이 오래 되었거나 특수한 직종 수술실 , 응급실, 중환자실 에 근무하실 경우 3,000만 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경우도 있다.
1.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뉴스 스크랩
간호조무사 54%는 최저임금 이하로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
2024년 2월 20일부터 3월 4일까지 전국에서 간호조무사 6,450명이 참여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결과 응답자의 54.1%는 최저임금 이하로 월급을 받고 있었습니다.
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의 75.4%가 최저임금 이하의 월급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고 이어 병원 59% 한의원 55.8% 노인장기요양기관 54.8% 사회복지시설 45.1% 일반의원 42.0% 상급종합병원 39.3% 가 월급이 최저 임금 이라하고 했다.
2.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간호조무사 월급 보고서
간호조무사 월급은 근무기관에 따라 약 170만 원에서 40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.
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, 정규직 간호조무사의 월평균 급여총액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약 4,050,740원 으로 가장 높았고 종합병원에서는 1.697,481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.
-상급종합병원: 4,050,740원
-종합병원: 2,180,401원
-의원: 2,150,730원
-병원: 2,063,648원
-노인 장기요양 시설: 1,950,117원
-재가노인장기요양센터: 1,897,607원
-요양병원: 1,697,481원
같은 간호조무사 직종이라도 근무 환경에 따라 급여가 다르며, 특히 상급종합병원과 요양병원 간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.
3. 2024년 간호조무사 신입 월급
평균: 월 200만원 ~ 230만원
세전 기준: 약 180만원 ~210만원(4대보험 공제 전)
경력 및 근무조건에 따라 최저임금 수준부터 시작하여 250만원 이상까지도 가능
4. 2024년 간호조무사 경력자 월급
-신입: 180만원
-3년차: 200만원
-5년차: 220만원
-10년차: 240만원
위 급여는 평균값이며, 실제 급여는 개인의 근속 연수,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5. 근무지에 따른 월급
상급 종합병원은 대체로 높은 편이고 중소 병원은 다소 낮은 편입니다.
의원급 의료기관이 가장 낮은 편입니다.
-종합병원: 220만원
-요양병원: 200만원
-치과의원: 190만원
-사회복지시설: 180만원
6. 지역별에 따른 월급
서울: 220만원
경기/인천: 210만원
강원/충청: 200만원
전라/경북: 190만원
경남/제주: 180만원
서울도 적은편인데, 지방은 더 심한편👎
7. 남자 간호조무사 월급
남자 간호조무사 월급은 207만원~400만원으로 여자보다 높은 편
8. 방문간호조무사 월급
방문간호는 노인장기요양보호법에 의해서 나라에서 기본적으로 85%를 지원받기 때문에 한 달 간의 서비스가 끝나면 다음 달에 노인장기요양보험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나라에 청구를 해야합니다.
청구 후에 기관에서 지정한 통장으로 나라 지원금이 들어오고
수급자들이 본인부담금을 보내옵니다,
이번 달 서비스를 제공하면 다음 달 초에 나라에 청구하여 지급완료 됩니다.
따라서 보통 익월 20일~31일 사이에 월급을 받습니다.
센터마다 월급일이 달라요.
즉 2월에 근무한 수당은 3월 20일 넘어 월급을 받습니다.
실제 서비스가 이루어진 것을 해당 월말에 마감해서 익월에 청구하기 때문에 미리 월급을 줄 수가 없어요.
보통 방문요양/방문요양/방문간호는 월급제가 아닌 건당 급여제 입니다.
방문요양은 시간당 12,000원 이상의 급여를 받고 근무한 시간x일수에 따라서 시람마다 받는 월급이 달라집니다.
기준금액 X 월 간수 = 월급 이 됩니다.
!!유류비, 식대는 본인 부담입니다.
센터마다 인건비 비율 적용기준이 다르고
한 달에 60시간 이상 근무하면 4대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9. 결과적으로
생각보다 간호조무사의 월급 수준은 열악한 편이며, 조사에 의하면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약 17.4%라고 합니다.
그래도 최저임금을 초과해 지급하는 비율이 높은 근무기관으로는 치과, 상급종합병원 등이 있습니다.
해당 자격증으로 취업 시 높은 수준의 임금을 차지하지는 않지만,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늦은 나이까지 일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