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 9월 간호조무사 시험 문제풀이 11~20번





2024년 9월 간호조무사 시험문제 11~20번


11.영구치가 나오는 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① 5세 정도로 아래턱에 앞니가 나온다.

② 6세 정도에 아래턱에 제1 큰어금니가 나온다.

③ 8세 정도에 위턱에 송곳니가 나온다.

④ 12세 정도에 위턱에 제1 작은어금니가 나온다.

⑤ 15세 되면 사랑니까지의 영구치열이 완성된다.


6세 정도에 아래턱에 제1 큰어금니가 나온다. 「기초 간호학 개요」 p.356~357

5세 정도로 아래턱에 앞니가 나온다. -> 7세가 되면 앞쪽 에서 간니 중심 앞니(중절치)가 나온다.
②6세 정도에 아래턱에 제1 큰어금니가 나온다.(정답)
③8세 정도에 위턱에 송곳니가 나온다. -> 8세에 측절치가 입안으로 나온다.
④12세 정도에 위턱에 제1 작은어금니가 나온다. -> 12세에 제2 큰어금니가 나온다.
⑤15세 되면 사랑니까지의 영구치열이 완성된다. -> 15세에 제2 큰어금니까지의 간니 치열이 완성된다.


12.치과진료 기구 중 천공기(excavator)의 주된 사용 용도는?

① 충치의 깊이 파악

② 구강 내에 고인 액체 흡인

③ 충치가 진행된 상아질 제거

④ 보존 치료를 위한 소형 재료 삽입

⑤ 잘 보이지 않는, 구강 안쪽의 치아 관찰


충치가 진행된 상아질 제거 「기초 간호학 개요」 p.361

익스카베이터(excavator)를 천공기라고 합니다.
보존 치료 시 충치의 병소의 제거를 위한 기구이다.


13.부황 요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① 운동 직후에 적용한다.

② 하루에 여러 번 할수록 효과가 좋다.

③ 1회 적용 시간은 30분 이상으로 한다.

④ 명현 반응이 심해지면 휴식하게 한다.

⑤ 화관 한 개당 1회에 20ml 이상을 방혈한다.


명현 반응이 심해지면 휴식하게 한다. 「기초 간호학 개요」 p.418

①운동 직후에 적용한다.-> 식사 직전, 식사 직후, 운동 직후은 피한다
②하루에 여러 번 할수록 효과가 좋다. -> 하루에 한 번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③1회 적용 시간은 30분 이상으로 한다. -> 1회 적용 시간은 약 5~10분 정도 시행한다.
④명현 반응이 심해지면 휴식하게 한다.(정답)
⑤화관 한 개당 1회에 20ml 이상을 방혈한다. -> 방혈 시 1회 10cc를 넘지 않도록 한다.

처음 압력은 30~40mmHg로 한다
치료 후 피로감 호소 시 2~3일간 휴식기를 둔다.
1분 정도 사혈한다.
출혈 증상이 심한 사람이나 정맥류 환자에게는 금한다.


14.혼합된 약제에 물을 붓고 오랜 시간 열을 가하여 추출한 액체로, 흡수와 치료 효과가 빠른 약 제형은?

①탕제

②산제

③주제

④정제

⑤환제


탕제 「기초 간호학 개요」 p.399

★국시빈출문제★
탕제는 급성질환에 많이 응용되면 증상에 따라 용량을 가감할 수 있다.

환제는 만성질환에 응용된다.
산제는 마른 약제를 균등한 세말로 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것이다.
주제는 약물을 알코올 용액에 담그고 삼출시켜 복용하는 것이다.
정제는 약물을 세말로 하여 농출시칸 후 부형제를 가하여 정제(알약)를 만드는 것이다.


15.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간호보조활동으로 옳은 것은?

①가족의 면회를 제한한다.

②병실의 조명은 어둡게 한다.

③체위 변경을 규칙적으로 시행한다.

④환자와 대화 시 큰 소리로 말한다.

⑤실내 온도는 30'C 이상을 유지한다.


체위 변경을 규칙적으로 시행한다.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244

①가족의 면회를 제한한다. -> 면회를 제한하지 않는다.
②병실의 조명은 어둡게 한다. -> 시력이 약해지므로 방을 밝게 해 준다.
③체위 변경을 규칙적으로 시행한다.(정답)
④환자와 대화 시 큰 소리로 말한다. -> 청각은 늦게까지 남아 있으므로 조용히 하고, 정상 음성으로 명확하게 한다.
⑤실내 온도는 30'C 이상을 유지한다. -> 실매 온도는 21~23도 정도로 유지시킨다.


16.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알려주는 가장 민감한 지표는?

① 체중

② 골밀도

③ 활력징후

④ 체질량지수

⑤ 피부주름두께


활력징후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29

활역 징후는 생리적 변화 관찰 시 먼저 살펴야 하는 것으로 심장과 폐의 생리적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.
입원 환자는 특별한 변화가 없더라도 하루2회 이상 측정해서 기록해야 한다.


17.투베르쿨린검사를 하기 위해 약물을 주입한 후 그 반응을 확인하는 시간으로 옳은 것은?

① 15분

② 60분

③ 12~24시간

④ 48~72시간

⑤ 96~120시간


48~72시간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309

★국시빈출문제★
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는 결핵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 48~72시간 이후 주사 부위의 부어오름 정도를 측정한다. 일반적으로 10mm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한다.


18.갑상샘절제 후 환자의 목소리로 확인할 수 있는 합병증은?

①출혈

②감염

③연하곤란

④갑상샘저하증

⑤후두신경 손상


후두신경 손상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368

갑상선 절제술 후에는 대상자의 후두신경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말을 시켜본다.


19.빈혈 환자에게 철분제제를 투여하는 이유는?

①감염 예방

②변비 예방

③면역력 향상

④혈장량 증가

⑤적혈구 생성 촉진


적혈구 생성 촉진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316

철분을 빈혈 환자에게 투여하는 이유는 정상적인 적혈구의 제조를 위해서이다.


20.협심증 환자가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해 말한 다음 내용 중 옳은 것은?

①"녹차를 많이 마시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."

②"하루에 5개비 이하의 흡연은 가능합니다."

③"육체적으로 피로하지 않게 활동을 조절해야 합니다."

④"기온이 영하일 때 새벽에 외출하는 것은 안전합니다."

⑤"흉통이 있을 경우 나이트로글리세린을 물과 함께 삼켜야 합니다."


“육체적으로 피로하지 않게 활동을 조절해야 합니다.” 「기초 간호 임상 실무」 p.328

녹차의 카페인 성분으로 도움이 안 된다.
흡연은 1개비라도 안 된다.
기온이 영하 일 때 새벽에 외출하는 것은 갑작스런 혈관 수축으로 위험합니다.
협심증이 발생 될 때 나이트로글리세린은 혀 밑에 넣으면 곧 침에 용해되므로 20~30초 후에는 흉통을 억제한다.
★국시빈출문제★ 설하투여!
나이트로글리세인은 혈관을 이완시킴으로써 전신의 혈압을 하강시키며 그 결과 심장의 부담이 감소되므로 혈량을 증가시킨다.


2024년 9월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100문제 해설을 제공해드립니다.

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로, 여러분의 공부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
시험문제 100문제를 한 번에 모두 올리기에는 글이 길어져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어

10문항 나눠서 설명을 게시하겠습니다. 각각의 문제마다 오답 부분을 선으로 적용해

표시했습니다. 꼭 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아래 추가 핵심으로 작성 했습니다.

국시 빈출 문제★ 로 표기된 부분은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에 자주 출제되는

문제이므로 한번 더 집중해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

다음 이전